
수전증은 의도하지 않은 손 떨림을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흔히 발생하는 증상이지만, 다양한 질환의 증상으로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 주요 원인
본태성 진전증: 가장 흔한 수전증 유형으로, 특별한 원인 없이 발생합니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필수 진전증: 약물이나 알코올 중단 후 나타나는 떨림입니다.
파킨슨병: 뇌의 운동 기능을 조절하는 신경 세포가 손상되면 발생하는 진행성 질환입니다. 떨림 외에도 근육 강직, 느린 움직임, 자세 불안정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소뇌 병변: 소뇌는 균형과 조정을 담당하는 뇌의 한 부분입니다. 소뇌가 손상되면 손 떨림, 어지러움, 보행 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갑상선 기능 항진증: 갑상선 호르몬이 너무 많이 생성되면 떨림, 불안, 체중 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저혈당: 혈당 수치가 너무 낮으면 떨림, 땀, 어지러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약물 부작용: 일부 약물의 부작용으로 떨림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카페인 및 알코올: 과도한 카페인이나 알코올 섭취는 일시적인 떨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치료
수전증의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다릅니다.
본태성 진전증: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 치료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증상이 심한 경우 베타 차단제, 프리가 발린 또는 프림이돈과 같은 약물을 처방받을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뇌 수술을 고려할 수도 있습니다.
필수 진전증: 진전을 멈추거나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약물 치료가 필요합니다.
파킨슨병: 파킨슨병을 치료하는 약물은 없지만 증상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약물이 있습니다. 도파민 치료제, 아만타딘, 안티콜린제 등이 있습니다. 심한 경우 뇌 수술을 고려할 수도 있습니다.
소뇌 병변: 소뇌 병변의 원인에 따라 치료법이 다릅니다.
갑상선 기능 항진증: 항갑상선 약물로 갑상선 호르몬 수치를 정상 범위로 낮춥니다.
저혈당: 혈당 수치를 정상 범위로 유지하기 위해 식단 및 약물 치료가 필요합니다.
약물 부작용: 떨림을 유발하는 약물을 복용을 중단하거나 다른 약물로 대체해야 합니다.
카페인 및 알코올: 카페인과 알코올 섭취를 제한해야 합니다.

'노화.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와사키병이란 무엇이고 예방과 치료는? (0) | 2024.06.22 |
---|---|
탈모의 주요 원인, 예방, 치료 및 남녀 탈모 차이 (0) | 2024.06.22 |
여름철에 많이 발생하는 질환 5 (0) | 2024.06.17 |
당뇨병 전조증상 주요 내용 및 예방책 (0) | 2024.06.17 |
남성이 여성보다 수명 짧은 이유? (0) | 2024.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