섭생.영양

지방 종류 및 상세 내용

건삶연 2024. 7. 29. 09:18
728x90
반응형
SMALL


지방은 탄소, 수소, 산소로 구성된 유기 화합물로, 우리 몸의 세포막을 구성하고, 에너지를 저장하며, 체온을 유지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합니다.

지방은 크게 포화지방, 불포화지방, 트랜스지방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포화지방​

포화지방은 탄소 사슬 사이에 이중 결합이 없는 지방으로, 고체 상태로 존재합니다. 포화지방은 육류, 우유, 유제품, 팜유, 코코넛 오일 등에 함유되어 있습니다. 포화지방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고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불포화지방​

불포화지방은 탄소 사슬 사이에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이 있는 지방으로, 액체 상태로 존재합니다. 불포화지방은 식물성 기름, 견과류, 씨앗류 등에 함유되어 있습니다. 불포화지방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 트랜스지방​

트랜스지방은 불포화지방의 일부가 가공 과정에서 변형되어 탄소 사슬 사이에 이중 결합이 생긴 지방입니다. 트랜스지방은 가공 식품, 패스트푸드, 인스턴트 식품 등에 함유되어 있습니다. 트랜스지방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고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지방의 효능​ ☆​

지방은 다음과 같은 효능이 있습니다.

에너지 저장 : 지방은 우리 몸의 주요 에너지원입니다.

세포막 구성 : 지방은 세포막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입니다.

체온 유지 : 지방은 체온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호르몬 생성 : 지방은 일부 호르몬의 생성에 필수적입니다.


지방의 섭취 권장량​

성인 기준 하루 지방 섭취량은 총 열량의 20~35%입니다.
이 중 포화지방은 총 열량의 10% 미만, 트랜스지방은 0g 이하로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지방 섭취의 주의점​

지방은 과다 섭취하면 다음과 같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체중 증가 : 지방은 1g당 9kcal의 열량을 가지고 있어 과다 섭취하면 체중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심혈관 질환 : 포화지방과 트랜스지방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고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염증 : 과도한 지방 섭취는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지방은 우리 몸에 필요한 영양소이지만, 과다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건강한 지방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실천할 수 있습니다.​

◇ 불포화지방을 섭취합니다.

​◇ 포화지방과 트랜스지방의 섭취를 제한합니다.

◇ 식물성 기름을 사용합니다.

◇ 가공 식품의 섭취를 줄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