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CQ7os/btsHQSSXS26/eXaUNEMzbm8jEuG20atFM0/img.jpg)
■ 정의
식중독이란 음식을 먹고 나서 우리 몸에 안 좋은 미생물이나 유독물질에 의하여 발생되는 감염성이나 독소형 질환을 말합니다.
■ 원인
식중독의 원인은 크게 미생물에 의한 것과 화학물질(자연독, 인공화합물)에 의한 것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미생물에 의해 발생되는 식중독에는 세균성과 바이러스성이 있는데, 세균성 식중독이 가장 흔한 형태입니다. 식중독을 일으키는 세균(식중독균)은 대개 4~60℃의 온도에서 증식하므로, 뜨거운 음식은 최소한 60℃ 이상으로, 찬 음식은 최대한 4℃ 이하로 보관하면 세균의 증식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증상
식중독에 걸리면 일반적으로 구토, 설사와 같은 소화기 증상이 나타납니다. 세균성인 경우 몸 전체에 열이 날 수 있고, 세균성 독소가 원인일 경우 신경 마비, 근육 경련, 의식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치료
식중독을 치료할 때는 구토나 설사로 인한 체내 수분 손실을 보충하고, 전해질 불균형을 교정하기 위해 수액을 공급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끓인 물(1L)에 설탕(4)과 소금(1)을 타서 마시거나 시중의 이온음료를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탈수가 너무 심한 경우는 의료기관에서 수액을 투여해야 하고, 혈변이나 발열이 심한 경우는 항생제를 투여해야 합니다. 식중독 증상 중 구토나 설사는 독서를 배출하는 반응이므로 지사제(설사 멈추는 약)나 구토억제제를 함부로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 예방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손을 비누로 깨끗이 씻고, 물은 끓여 마시며, 음식은 익혀 먹는 3대 원칙을 명심해야 합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8.gif)
'노화.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삶의 질과 관련 높은... '턱 관절장애' (2) | 2024.06.08 |
---|---|
'피부암' 요약으로 알아보기 (0) | 2024.06.08 |
전립선암 진단부터 예후 예측까지… ‘혈액 검사’ 기술 개발 (0) | 2024.06.04 |
세균 vs 바이러스 (0) | 2024.06.04 |
가는 세월 덜 늙고 싶다면...어떤 음식을 먹어야 하나? (1) | 2024.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