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tvmyG/btsMcGAkkfe/BggysakaQbUah6d2W3XUe1/tfile.jpg)
=> 음성으로 듣고 영어공부도 하기!
(후반부: 영어음성 & 자막)
https://youtu.be/ySJoaqseB18?si=CVYKWbAjhhpZIXZu
당뇨병은 인슐린 부족 또는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해 혈당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질환입니다. 고혈당은 우리 몸의 여러 기관에 손상을 일으키며 다양한 증상을 유발합니다.
1. 3대 주요 증상 (삼다 증상)
□ 다음 (Polydipsia, 과도한 갈증)
* 기전 원리: 혈액 내 포도당 농도가 높아지면 삼투압 현상에 의해 세포 내 수분이 혈액으로 빠져나가 탈수 상태가 됩니다. 우리 몸은 탈수 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갈증을 느끼게 됩니다.
□ 다뇨 (Polyuria, 잦은 소변)
* 기전 원리: 혈액 내 포도당 농도가 높아지면 신장에서 포도당을 걸러내기 위해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합니다. 이로 인해 소변량이 증가하고, 특히 밤에 소변을 자주 보는 야뇨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다식 (Polyphagia, 과도한 식욕)
* 기전 원리: 인슐린 부족 또는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해 세포가 포도당을 제대로 이용하지 못하면 몸은 에너지 부족 상태로 인식합니다. 이로 인해 식욕이 증가하고, 특히 단 음식을 찾게 됩니다.
2. 기타 주요 증상
□ 체중 감소 또는 증가
* 기전 원리: 제1형 당뇨병의 경우 인슐린 부족으로 포도당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지 못해 체중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제2형 당뇨병의 경우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해 포도당이 지방으로 축적되어 체중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피로감
* 기전 원리: 세포가 포도당을 제대로 이용하지 못하면 에너지 부족 상태가 되어 피로감을 쉽게 느낄 수 있습니다.
□ 흐릿한 시력
* 기전 원리: 고혈당은 수정체에 영향을 주어 시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상처 치유 지연
* 기전 원리: 고혈당은 혈액 순환을 방해하고 면역 기능을 저하시켜 상처 치유를 더디게 합니다.
□ 감각 이상
* 기전 원리: 고혈당은 신경 세포에 손상을 주어 손발 저림, 따끔거림, 감각 둔화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피부 건조 및 가려움
* 기전 원리: 고혈당은 피부를 건조하게 만들고 가려움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잦은 감염
* 기전 원리: 고혈당은 면역력을 약화시켜 감염에 취약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혈관 속 포도당 농도가 높아지는 고혈당 상태는 우리 몸의 삼투압 작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삼투압은 농도가 낮은 용액에서 높은 용액으로 용매(물)가 이동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zoDbO/btsMaRDuMyF/zRvAjZLWRrqh7BZVz88W7K/tfile.jpg)
□ 고혈당과 삼투압
* 혈액 내 포도당 농도 증가: 당뇨병 등의 이유로 혈액 내 포도당 농도가 높아지면 혈액의 삼투압이 증가합니다.
* 세포 내 수분 감소: 삼투압 차이에 의해 세포 내의 수분이 혈액으로 이동합니다. 이는 세포의 탈수 상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신장 기능 변화: 신장은 혈액 속 과도한 포도당을 제거하기 위해 많은 양의 물을 사용합니다. 이 과정에서 소변량이 증가하고, 탈수 증상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
* 갈증 유발: 탈수 상태는 갈증을 유발하여 물을 마시게 합니다. 하지만 고혈당 상태가 지속되면 탈수 증상은 계속될 수 있습니다.
* 혈액 순환 장애: 탈수와 혈액 농도 증가는 혈액 순환을 방해하고, 이는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오늘은 당뇨병의 주요 증상이 발생하는 그 기전 원리, 고혈당 시 혈관 주변에서 삼투압 원리가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9.gif)
'노화.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상선호르몬 항진 또는 저하 경우 신체 증상 특징 (0) | 2025.02.11 |
---|---|
위(Stomach)의 탄력성, 위에 발병할 수 있는 질환 종류 (0) | 2025.02.08 |
알츠하이머병, 아밀로이드 베타 & 타우 단백질, 뇌 플라크 예방을 위한 생활 습관 (0) | 2025.02.08 |
당뇨망막 병증 요약 및 환자 영양 가이드 (1) | 2025.02.06 |
B형 간염의 감염 경로, 만성화 이후 관리 및 치료 수칙 (1)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