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한국인의 성별, 연령대별 혈압의 평균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성별/ 연령대/ 평균 수축기 혈압 (mmHg)/ 평균 이완기 혈압 (mmHg)
남성 19~39세 127 78
남성 40~59세 133 82
남성 60~79세 140 85
여성 19~39세 122 76
여성 40~59세 130 80
여성 60~79세 136 83
이러한 평균치는 여러 연구 결과를 종합한 것입니다. 그러나 개인의 체질, 생활 습관, 기타 건강 상태에 따라 혈압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의 혈압이 정상 범위인지 확인하려면 정기적으로 혈압을 측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고혈압의 기준
대한고혈압학회의 고혈압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이면 고혈압으로 진단합니다.
수축기 혈압이 130~139mmHg,
이완기 혈압이 85~89mmHg이면
고혈압 전단계로 진단합니다.
고혈압은 치료하지 않으면 심혈관질환, 뇌졸중, 신장 질환 등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혈압이 진단되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건강.운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석증 요약으로 알아보기 (0) | 2024.06.06 |
---|---|
중년 이후 건강 관련 공통 화두 5가지는 ? (0) | 2024.06.05 |
한쪽 다리로 서서 00초 못 버티면 일찍 사망위험 높다 ? (0) | 2024.06.04 |
암 예방을 위한 생활습관 핵심내용 (Kor/Eng) (0) | 2024.06.03 |
보폭과 건강의 상관관계는? (1) | 2024.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