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의 신(神)으로 불리며 ‘백 년 허리’ ‘백 년 목’ ‘백 년 운동’ 등의 책을 쓴 정선근 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교수는 요통의 원인과 허리디스크에 좋은 자세 등을 소개했다.
![](https://blog.kakaocdn.net/dn/lrQ9W/btsHKMeyIQ6/uH35FpAQUyHk8CHj9i0eE1/img.jpg)
정 교수는 “허리디스크는 암 같은 병과 다르게 대부분 스스로 이겨낼 수 있다”라고 했다.
허리 통증의 원인으로 근육이나 인대를 꼽는 경우가 많지만, 이는 의학적인 오해라고 정 교수는 지적한다. 뼈와 뼈 사이의 물렁뼈인 디스크가 찢어지거나 탈출하면서 통증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디스크에서 발생한 화학적 염증이 통증을 유발하는 것이다. 허리의 가운데 부분만 아픈 ‘축성(軸性) 요통’은 디스크의 신호다. 정 교수는 “환자 중에 몇 년 전부터 허리 가운데가 아팠다가 금방 낫는 증상을 방치해 결국 디스크가 탈출한 경우가 많다”며 “축성 요통은 디스크가 우리에게 보내는 신호”라고 했다.
이런 축성 요통을 막는 것이 허리를 쭉 펴는 ‘신전(伸展) 동작’이다. 허리를 뒤로 쭉 젖힌 상태로 유지해 디스크에 난 상처를 서로 붙여주는 것이다. 다친 허리에 붙이는 ‘반창고 자세’인 셈이다. 상처가 난 살이 맞닿으면 아픈 것처럼, 처음에는 허리가 뻐근하다. 하지만 이 상태를 쭉 유지하면 통증이 줄어든다. 정 교수는 “24시간 동안 이 자세를 유지하고, 1초도 구부리지 않는 것이 좋다”며 “잘 때는 하늘을 똑바로 보고 누워서 허리 뒤에 쿠션을 넣어주는 것이 좋다”라고 했다.
이미 디스크가 터진 경우 다리 등 넓은 부위로 통증이 퍼지는 방사통이 찾아온다. 이 경우 염증이 심하기 때문에 척추 위생만으로는 개선이 어렵다. 정 교수는 “약국에서도 살 수 있는 이부프로펜 등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를 먹고 염증을 없앤 다음 반창고 운동을 하면 좋다”며 “염증이 극심한 경우 스테로이드 주사를 직접 주사할 때도 있다”라고 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6.gif)
'건강.운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맨발걷기 6개월 소회 (0) | 2024.06.02 |
---|---|
갑상선기능저하증(=갑상샘저하증) 핵심 요약 (0) | 2024.06.01 |
제2의 심장, ‘종아리 근육' 챙기는 운동법 (0) | 2024.05.31 |
대변 모양, 색깔로 몸 상태를 알 수 있다 ? (0) | 2024.05.31 |
뇌 자극하려면 어떤 운동을 해야 ? (2) | 2024.05.31 |